반응형
보험업계가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위한 무상 상생보험상품을 출시합니다.
총 300억 원 규모(생명보험 150억 + 손해보험 150억)로, 전국 17개 시·도와 함께 추진되며
사회안전망 강화와 민생 회복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✅ 상생보험상품 종류
1. 소상공인 민생 회복
- 신용보험
소상공인 사망·장해 발생 시 대출금을 보험금으로 상환 → 생계 보호 - 상해보험
5인 미만 소상공인·중소기업도 단체로 묶어 저렴한 단체 상해보험 가입 지원 - 기후보험
폭염,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영업 중단 및 일용직 근로자 소득 손실 보전 - 풍수해보험
태풍·홍수로 발생하는 상가, 비닐하우스, 시설 피해 보상 지원 - 화재보험
전통시장·골목 상권 화재 피해 보장
2. 저출산 극복 지원
- 다자녀 안심보험
다태아, 둘째 이상 자녀 출생 가정(특히 취약계층) 대상으로 2년간 보장
(상해·중증질환·응급실 내원비 등 포함)
👉 이외에도 신규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상생보험 라인업 확대 예정
📝 선정 방식
- 지자체 공모를 통해 지원대상 지자체 선정 (2026년 초 예정)
- 지자체가 지역 경제상황과 특성에 맞게 상품 선택 → 맞춤형 지원
- 금융위원회 현장방문·협의를 통해 최종 지원사업 확정
💰 예상 지원 혜택 (상품당 10억 원 규모 기준)
- 단체 상해보험: 5,000~7,500명 소상공인 보장 (연 보험료 13만 원)
- 풍수해보험: 약 3만 명 소상공인 지원 (연 보험료 3만 3천 원)
- 다자녀 안심보험: 다태아·둘째 이상 자녀 8,000명 지원 (2년 보험료 12만 원)
👉 실제 보험료 대비 상당한 혜택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어, 소상공인과 다자녀 가정의 부담을 크게 줄일 전망입니다.
📌 기대 효과
-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성 확보
- 취약계층 사회안전망 강화
- 저출산 문제 해결에 기여
- 지역별 맞춤 지원을 통한 균형발전 촉진
🏦 결론
보험업계가 선보이는 이번 상생보험상품은 단순한 보험 지원이 아닌,
👉 “소비자를 웃게 하는 금융(소소금)” 정책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게 될 전망입니다.
앞으로 지자체 공모 결과와 상품별 세부 조건이 확정되면,
소상공인·취약계층 가정에서 보다 쉽게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