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사망 후에나 받을 수 있었던 사망보험금을 이제는 55세부터 연금처럼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.
금융위원회는 오는 2025년 10월부터 국내 5대 생명보험사(한화생명, 삼성생명, 교보생명, 신한라이프, KB라이프)에서
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.
✅ 사망보험금 유동화란?
- 기존에는 종신보험 가입자가 사망해야만 유족이 수령할 수 있었던 사망보험금을,
생존 시점부터 연금처럼 당겨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- 보험계약자 입장에서는 노후 소득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새로운 연금 자산으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📅 출시 일정과 지급 방식
- 2025년 10월: 연간 단위로 지급받는 연 지급형 출시
- 2026년 초: 매월 지급받는 월 지급형 순차 도입 예정
👉 두 가지 방식 모두 소비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🧾 신청 조건과 대상
- 신청 연령: 기존 65세 → 55세부터 가능
- 대상 계약: 종신보험 계약자 중 유동화 특약이 부가된 상품 보유자
- 수령 기간: 최소 2년 이상, 연 단위 설정 가능
- 유동화 비율: 사망보험금의 최대 90%까지 활용 가능
💰 실제 수령 예시
- 30세에 종신보험 가입 후, 20년 동안 매월 8만 7천 원(총 2,088만 원) 납입 → 사망보험금 1억 원 계약 보유
- 55세부터 사망보험금 일부를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:
- 사망보험금 3,000만 원 남기고 55세부터 연금 전환 시 → 월 평균 14만 원 수령
- 수령 시점을 75세로 늦출 경우 → 월 평균 22만 원 수령
👉 본인이 납입한 보험료 이상을 비과세로 수령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.
📌 소비자 보호 방안
- 대상 계약자에게 개별 안내(문자, 카카오톡 등)
- 제도 초기에는 대면 신청만 가능 → 불완전판매 방지 목적
- 철회권·취소권 보장으로 계약자의 권리 보호 강화
- 전담 안내 담당자 배치 → 상품 이해도 제고
🏦 노후 대비 새로운 선택지
국민연금 개시 연령이 점차 늦춰지면서, 55세~65세 사이 소득 공백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
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이 공백을 메워주는 새로운 노후 소득 보완 수단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.
👉 정리
- 2025년 10월, 5대 생명보험사에서 출시
- 55세부터 신청 가능
- 연 지급형(연 단위) → 2026년 월 지급형(월 단위) 도입 예정
- 최대 90%까지 유동화 가능
- 노후 자산 활용 폭 확대
🔎 보험, 연금, 노후자산 관리에 관심 있는 분들께 반드시 필요한 정보!
곧 출시될 상품이니, 가입 중인 종신보험이 유동화 대상인지 꼭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