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기록하지 않는 투자는 성장하지 않는다.” 저는 2022년 하반기부터 투자일지를 꾸준히 작성해왔고,
그 후 수익률과 리스크 관리 능력이 눈에 띄게 개선됐습니다.
특히 실수의 반복이 줄고, 매매에 대한 객관적인 복기가 가능해졌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경험한 투자일지 작성 노하우와 함께, 사용해 본 다양한 투자일지 툴을 비교해 추천드립니다.
📌 왜 투자일지가 중요한가?
시장에선 '왜 샀는지 모르면, 왜 팔지도 모른다'는 말이 있습니다.
투자일지는 단순한 기록이 아닌,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발전시키는 도구입니다.
- ❗ 감정적 매매 줄이기
- ✔️ 전략별 성과 분석 가능
- 📈 장기적으로 수익률 향상에 기여
📝 제가 사용하는 투자일지 작성법
1. 기본 구조
- 날짜: 매매일 기준
- 종목/자산: 티커명 또는 종목명
- 매수/매도 이유: 기술적, 심리적, 뉴스 기반 등
- 매수가/수량/총액
- 매도 조건 또는 익절·손절 기준
- 실제 결과 및 복기
2. 작성 예시
[2024-11-10]
종목: KODEX 반도체
매수 이유: 수급 개선 + IT섹터 반등 시그널 (RSI 35 → 50 돌파)
매수가: 14,550원 / 수량: 50주 / 총액: 727,500원
손절 기준: -5% / 익절 목표: +12%
복기: 목표가 도달 전 AI 관련 뉴스로 급등, +16.4% 매도 성공. 뉴스 체크 중요성 ↑
📊 투자일지 작성 툴 비교
툴명 | 특징 | 장점 | 단점 |
---|---|---|---|
엑셀/구글 스프레드시트 | 사용자 맞춤 템플릿 가능 | 자유도 높음, 차트 시각화 가능 | 모바일 작성 불편, 초보자 진입장벽 |
Notion | 투자일지 템플릿 다수 존재 | 태그 분류, 클라우드 기반 | 데이터 분석 자동화는 제한적 |
StockPlus 투자노트 | 모바일 매매 연동 지원 | 간편한 기록 + 시세 확인 | 기록 항목이 단순함 |
네이버 포트폴리오 | 자동 수익률 트래킹 | 시세 알림, 배당 일정 제공 | 자세한 매매 사유 기록 불가 |
📈 제가 선택한 툴 & 활용법
처음엔 Excel로 시작했지만, 요즘은 구글 스프레드시트 + Notion 조합을 사용합니다.
- 📊 스프레드시트: 수익률/비중 분석, 리밸런싱 추적
- 📋 Notion: 감정/매매 이유 기록, 주간 복기
매주 일요일 오전 1시간을 정해, 한 주간의 매매를 정리하면서 ‘실수 패턴’을 파악하고 개선 포인트를 찾습니다.
이 루틴 덕분에 2023년 이후 손절 빈도는 30% 줄고, 수익률은 꾸준히 8~12% 상승했습니다.
💡 실전 작성 꿀팁
- ✔️ 매매 전에 먼저 작성 → 사전 판단 훈련
- ✔️ 감정 기록도 포함 (예: 불안, 확신, 충동)
- ✔️ 한 줄 복기라도 반드시 남기기
- ✔️ 정기 복습 → 실수 반복 방지
✅ 결론: ‘기록’은 최고의 리스크 관리 도구다
투자일지를 작성하면서 저는 시장이 아닌 ‘나 자신’을 객관화하는 힘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.
특히 손실 원인을 패턴화해 방어 전략을 세운 경험은 장기 투자에서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습니다.
투자일지는 하루 5분만 투자해도 수익률과 마인드셋 모두를 바꿔주는 최고의 도구입니다.
오늘부터라도, 당신만의 투자일지를 시작해보세요.
📎 참고 툴 링크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