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SMART 재무목표 설정법: 1년 안에 1,000만원 모으는 플랜

by 프롬나인3 2025. 7. 31.

“이번엔 꼭 1,000만 원 모아야지.” 매년 다짐했지만, 매번 흐지부지되었습니다.

그러나 2023년 말, 저는 처음으로 SMART 원칙을 적용한 결과,

12개월 만에 정확히 10,020,000원을 모으는 데 성공했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경험한 SMART 재무목표 설정법과 실천 전략을 바탕으로,

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1년 1,000만 원 저축 플랜을 소개합니다.

📌 SMART 목표란?

SMART는 다음 5가지 원칙의 앞 글자를 딴 목표 설정 기법입니다.

  • S (Specific): 구체적이어야 한다
  • M (Measurable): 측정 가능해야 한다
  • A (Achievable): 달성 가능해야 한다
  • R (Relevant): 현실적이고 의미 있어야 한다
  • T (Time-bound): 기한이 명확해야 한다

막연히 "돈을 모으자"는 목표보다,

"2024년 7월까지 1,000만 원을 모은다"라는 SMART한 목표가 훨씬 강력한 실행력을 발휘합니다.

🎯 저의 SMART 목표 설정

  • Specific: 매달 84만 원씩 저축해 1,000만 원 달성
  • Measurable: 월별 목표 금액 Excel 시트로 추적
  • Achievable: 월 소득 320만 원 기준, 생활비 조정으로 가능
  • Relevant: 긴급 자금 확보가 필요했던 상황
  • Time-bound: 2024년 8월까지 12개월 내 달성

📆 1년 1,000만 원 저축 플랜

월차 저축 목표 실제 저축액 메모
1개월차 ₩840,000 ₩850,000 초기 동기 부여 ↑
6개월차 ₩5,040,000 ₩5,180,000 성과 시각화로 유지
12개월차 ₩10,080,000 ₩10,020,000 목표 달성 🎉

💡 실천 전략

① 자동이체 활용

월급일 다음 날 아침 9시, **별도 CMA 통장으로 자동이체**를 설정했습니다. 자동화는 습관보다 강합니다.

② 소비 통제 루틴 만들기

  • ✔️ 점심값 8,000원 → 도시락으로 3,000원 절감
  • ✔️ 커피는 하루 1잔 → 주 5회로 제한
  • ✔️ 무지출 데이: 주 2일 실행

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기 위해, '구매 전 24시간 고민하기' 원칙을 만들었습니다.

③ 부수입 만들기

3개월 차부터 스마트스토어 중고 판매, 설문조사 앱 등을 통해 매월 약 10~15만 원 부수입을 창출했고, 이는 전액 저축에 추가로 포함시켰습니다.

🧠 시행착오에서 배운 점

  • ❌ 무리한 절약은 3개월 후 번아웃 → 현실 가능한 루틴이 중요
  • ✔️ 중간 점검 필수 → 월말마다 목표 대비 달성률 확인
  • ✔️ 목표 시각화 → 핸드폰 배경화면에 ‘잔고 캡처’ 저장

✅ 결론: 돈을 모으려면 목표부터 SMART하게 세워라

단순히 돈을 아끼는 것이 아니라,

왜 모으는지, 얼마나 모을 것인지, 언제까지 모을 것인지를 명확히 설정해야 비로소 실행이 됩니다.

저는 SMART 목표 설정 이후 단 한 번도 저축을 미루지 않았고,

오히려 성취감 덕분에 소비 욕구도 자연스럽게 줄었습니다.

1,000만 원은 숫자이지만, 그 안에는 '습관', '계획', '의지'라는 자산이 함께 쌓여갑니다.

지금 당장 SMART한 첫 목표를 만들어보세요!

 

📎 추천 도구: 가계부 앱 '뱅크샐러드', 자동이체 '카카오뱅크 저금통'